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취업현황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책임자인 미카엘 코스타 (Michael Kosta)는 "우리는 친환경 에너지, 로봇 기술, 그리고 AI 기반의 자동화가 결합된 새로운 혁신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며, 친환경 에너지와 로봇 기술의 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인사들이 나노 메카닉, 친환경 기계, 에너지 기계, 로봇 및 제조 장비 기술이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혁신적인 변화와 발전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 맞추어, UST-KIMM 스쿨에서는 현장중심교육으로 전문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역량을 배양하여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학생들이 졸업 후 국외 유수의 대학에 진학하거나 연구기관, 다양한 분야에 취업하여 활약하고 있습니다.

산업 부문

산업부문에 관한 표입니다.
졸업년도 세부전공분야 학위 취업기관
2023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휴비스
2021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주)LG디스플레이
2020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서연전자(계약학과)
2020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2019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에스엠텍
2018 로봇 · 제조장비 석사 삼진정밀
2018 로봇 · 제조장비 석사 삼진정밀
2018 로봇 · 제조장비 석사 ㈜보쉬렉스로스코리아
2018 로봇 · 제조장비 석사 쉘파스페이스㈜
2017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하나마이크론 ㈜
2014 친환경 · 에너지 기계 박사 KG모빌리티(구 쌍용자동차)
2013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엘지전자
2012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현대중공업
2012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삼성디스플레이
2012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삼성전자
2011 친환경 · 에너지 기계 박사 한국선급

공공/연구 부문

공공/연구 부문에 관한 표입니다.
졸업년도 세부전공분야 학위 취업기관
2023 친환경 · 에너지 기계 박사 국립목포해양대학교
2020 로봇 · 제조장비 석사 한전KPS
2020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9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국방과학연구소
2019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전력연구원
2018 로봇 · 제조장비 석사 한국전력연구원
2018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한국특허기술진흥원
2017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한국전기연구원
2017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한국과학기술원
2015 로봇 · 제조장비 석사 한국가스공사
2014 나노메카트로닉스 박사 (미국)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013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13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고등기술연구원
2013 로봇 · 제조장비 석사 국가기술표준원
2011 친환경 · 에너지 기계 박사 환경부

학계/진학 부문

학계/진학 부문에 관한 표입니다.
졸업년도 세부전공분야 학위 취업기관
2019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9 로봇 · 제조장비 석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연세대학교
2017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독일) Max Planck Campus Stuttgart
2016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2 친환경 · 에너지 기계 석사 위스콘신대학교
2009 나노메카트로닉스 석사 동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