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IMM NEWS
[기타] 기계연, 동구권 연구협력 거점 다지고 시장진출 박차
  •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2018.07.04.
  • 조회수7,363


기계연, 동구권 연구협력 거점 다지고 시장진출 박차



- 7월 2~3일, 체코공대/체코과학원 물리연구소 레이저연구센터와 MOU 체결 -


- 동구권 국제협력 활성화 거점 구축 및 공동연구 발판 마련 -

 



한국기계연구원 박천홍 원장(사진 오른쪽)이 7월 2일(월) 체코 HiLASE 토마스 모첵(Tomáš Mocek) 센터장과

레이저 분야 연구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손을 잡고 MOU를 체결했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천홍)이 동구권 연구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기계산업 시장의 문을 열어젖히기 위한 잰걸음에 나섰다. 동구권의 우수한 기초 기계기술 R&D 인프라를 선점하고, 성장하고 있는 기계기술 수요에 맞춰 시장 문을 열어갈 계획이다.


기계연은 7월 3일(화) 체코 프라하 소재 체코공대(CTU·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총장 보이테흐 페트라첵(Vojtěch Petráček))와 기관 간 MOU를 체결하고, 체코공대 산하 생산시스템 전문 연구기관인 RCMT(Research Center for Manufacturing Technology)와 본격적인 공동연구 분야 확대 모색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체코공대는 1707년 설립된 중앙유럽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기술 대학 중 하나로, 체코 내 공학 계열 최우수 대학으로 손꼽힌다. 우수 공학인재들이 석박사 및 연구원으로 포진하고 있으며 특히 뛰어난 공작기계 해석 기술과 가공 공정의 스마트화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첨단생산장비분야 연구진이 7월 2일(월) 체코 HiLASE를 방문한 가운데

고출력 레이저 빔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기계연과 체코공대는 산업통상자원부 한-체코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복합재를 활용한 전기차용 고속 경량 감속기 개발’ 과제와 기계연의 주요사업 ‘기계장비 정밀도 시뮬레이션 플랫폼 기술 개발’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기계연은 향후 체코공대와 교류를 통해 가상공작기계 및 공작기계 열변위 보정 등 협력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갈 계획이다.


 


한국기계연구원 박천홍 원장(사진 왼쪽)은 7월 3일(화) 체코공대 보이테흐 페트라첵(Vojtěch Petráček) 총장(사진 오른쪽)과

MOU를 체결하고 생산기술 선진화를 위한 연구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앞서 기계연은 7월 2일(월) 체코 체코과학원 물리연구소(Institute of Physics of the Czech Academy of Sciences, Czech Republic, 소장 미카엘 프라우자(Michael Prouza)) 레이저연구센터 하이레이즈(HiLASE·센터장 토마스 모첵(Tomáš Mocek))와도 MOU를 체결했다.



한국기계연구원 박천홍 원장(오른쪽)을 비롯한 연구진이 7월 3일(화) 체코공대와 MOU 체결 후
연구협력 분야를 모색하기 위해 기계공학부 실험실을 둘러보고 있다.

 

체코과학원 물리연구소 산하 기관인 HiLASE는 획기적인 차세대 레이저 기술 개발을 목표로 산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DPSSL·Diode Pumped Solid State Laser Systems)를 중심으로 하며, 특히 산업용 고출력 레이저 응용 개발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



HiLASE가 위치한 프라하 근교에 레이저 빔 이용자 연구시설 ‘엘라이(ELI·Extreme Light Infrastructure)’를 비롯한 레이저 기술 연구단지가 조성돼있다. 이들 연구기관은 시너지 효과를 내며 레이저에 관한 기초 기술부터 산업화까지 폭넓은 국제 연구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 ELI: 체코과학원 물리연구소 산하 기관, 유럽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범유럽 연구자원을 통합 운영하기 위한 ‘유럽전략포럼(European Strategy Forum on Research Infrastructures)’ 로드맵의 일환으로 조성된 레이저 전문 연구시설. 기초 기술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페타와트(PW, 10의 15승) 초고강도 레이저 빔과 입자빔을 이용하며, 레이저 빔 라인을 외부에 서비스하고 있다. 레이저 연구계의 학생부터 공동 연구기관과 계약된 사용자 등 다양한 국가의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 또한 갖췄다.



기계연과 HiLASE는 레이저 가공분야의 연구협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고출력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가공기술 개발과 고출력 레이저 전문 인력 양성 등 연구교류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두 기관은 지난 2014년 9월부터 체코와 대전을 오가며 상호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연구협의를 진행했으며, 산업용 고출력 레이저 가공 및 측정 기술 연구 분야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기계연 박천홍 원장은 “체코는 독일의 영향을 받아 우수한 기초 기계기술 R&D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특히 생산시스템 분야 연구에 있어 기계연의 핵심기술 개발 방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스마트 공작기계 기술을 중심으로 동구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까지 협력의 폭을 넓히며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