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연구실 |
이대훈 |
- 플라즈마 발생기술 - 플라즈마를 이용한 연료 처리 및 연료 개질기술 - 플라즈마 및 플라즈마 연소, 플라즈마 촉매 복합 공정을 통한 오염물질의 제거 및 처리 - 플라즈마 촉매 화학 공정 기술 |
042-868-7406 |
플라즈마연구실 |
강우석 |
- 플라즈마 발생/응용 기술 - 플라즈마 진단/시뮬레이션 - 반도체/디스플레이/에너지 분야 응용 플라즈마 발생기 개발 |
042-868-7435 |
플라즈마연구실 |
김관태 |
- 플라즈마 스크러버 기술 - 플라즈마 버너 및 개질기술 - 플라즈마-촉매 이용 유해가스처리기술 - 연소 및 액체분무노즐 성능시험 관련 |
042-868-7348 |
플라즈마연구실 |
송영훈 |
-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가스처리 기술, 여기서 유해가스란 저농도의 휘발성유기화합물, 악취, 질소산화물 등을 일컫고 있음. -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PFCS 및 HFCS와 같은 지구온난화가스의 처리 - 화석연료로부터 수소를 얻는 기술 및 이를 활용한 연소기술 - 디젤차 배기정화기술 |
042-868-7302 |
플라즈마연구실 |
조성권 |
- 플라즈마 발생 장치 개발 - 플라즈마 화학 반응 연구 및 응용 - 플라즈마 후처리 기술 개발 - 플라즈마 응용 연료 개질 및 변환 기술 개발 - 플라즈마 응용 기술 개발 |
042-868-7485 |
플라즈마연구실 |
허민 |
- 플라즈마 반응기 설계/해석/진단 - 반도체/디스플레이 플라즈마 응용 - 환경/에너지 플라즈마 응용 |
042-868-7634 |
플라즈마연구실 |
강홍재 |
- 플라즈마 반응 시스템 개발 |
042-868-7174 |
플라즈마연구실 |
김대웅 |
-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용 저압/저온 플라즈마 진단 - 저압/저온 플라즈마 진단기 개발 및 분석 - 저압/저온 플라즈마 소스 개발 및 분석 |
042-868-7922 |
플라즈마연구실 |
김무영 |
- 반도체 가상공정 플랫폼 구축 - 2차원 반도체 소재 플라즈마 식각/증착 - 제일원리-분자동역학-키네틱몬테카를로-연속체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
042-868-7399 |
플라즈마연구실 |
김유나 |
|
042-868-7198 |
플라즈마연구실 |
김태호 |
|
042-868-7989 |
플라즈마연구실 |
김형우 |
- 플라즈마 기반 반도체 합성/식각 공정 및 진단 - 저온플라즈마 2차원 물질 합성 및 센서(바이오, 가스, 광) - 플라즈마 공정 머신러닝기반 예측모델 |
042-868-7272 |
플라즈마연구실 |
송호현 |
|
042-868-7195 |
플라즈마연구실 |
이희수 |
|
042-868-7027 |
플라즈마연구실 |
최정안 |
|
042-868-71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