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 HS Code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및 세계 기계산업 현황 분석
○ 2012년 우리나라 기계산업 수출은 총 470.4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세계 9위를 달성
○ 우리나라 기계산업 수출은 중분류 84개 품목 중 수출 규모 1억 달러 이상인 46개 품목에 집중되어 있으며, 46개 품목의 수출액은 455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96.7% 차지
□ 우리나라의 품목별 수출 현황
○ 수출 규모 10억 달러 이상 품목(주력품목)은 16개로 전체 수출의 69.3%를 점유하고 있으며, 1억 ~10억 달러 미만 품목(준주력품목)은 30개로 전체 수출의 27.4% 차지
○ 중분류 84개 품목 중 2012년 현재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한 품목은 단 1개이며, 2위~5위 품목은 10개, 6위~10위 품목은 28개로 확인
- 점유율 1위 품목은 직물의 세탁·표백·염색·드레싱·도표침지용 기계류(HS Code 8451)로 수출액 7.7억 달러, 점유율 15.7% 달성
- 수출 점유율 2위~5위 품목은 모두 10개이나, 수출 규모가 비교적 큰 품목에서는 대부분 상위 3개국과의 격차가 큰 4~5위에 머무름
- 수출 점유율 6위~10위를 기록한 28개 품목 중 13개 품목은 우리나라 평균 수출 점유율(3.1%)을 상회하는 점유율 달성
□ 시사점
○ 우리나라 기계산업은 전체적으로 선전하고 있으나, 품목 수준에서는 여전히 취약한 경쟁우위를 보임
○ 주요 수출 품목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
- 우리나라의 수출액 1억 달러 이상 또는 점유율 10위 이내를 달성한 55개 품목에 대하여 수출 규모와 점유율 순위 중간값을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
- (1그룹) 수출액은 적으나 수출 점유율 순위에서 10위 안에 오른 품목으로, 선택적 R&D 투자를 통해 틈새시장의 지속 발굴이 필요
- (2그룹)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이면서 시장 규모도 큰 품목으로 지속적인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중장기 R&D 투자가 필요한 분야
- (3그룹) 시장 규모는 크지만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 품목으로 규모의 경제 효과 제고 방안이 필요한 분야
- (4그룹) 중간 규모의 시장이면서 우리나라가 공략하기 어려운 품목으로 효율성 개선 방안이 필요한 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