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응답

제목 중력기관 완성(제안 및 질의)
상태 | 대기 |
---|---|
작성자 | |
작성일 | 2012-08-21 |
조회 | 5564 |
내용 |
등재한 내용과 같이 중력기관이 완성된 것으로 사료됩니다. 에너지기술에 대한, 귀원의 견해를 알고자 합니다. 기술적 오류나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지적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술을 완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 력 기 관☜ (일명 수력&#8231;양수 겸용발전 기술의 작동 설명) 소수력(중력기관) 발전계략도(파일 참조) 기계의 특성과 액체 성질의 짜 집기로 완성된 “중력기관”은, 소수력 발전으로도 효과가 우수하다. 중력기관의 작동원리 그림과 같이 7.0ℓ의 물이 담수되는 두레박 24개가 균등 구비된 고리연결 줄(체인)로, 두 개의 톱니바퀴가 대응회전 하도록 장방원형 회전체를 구성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면, 10~12개정도의 두레박에 물이 담수되어 담수된 물 무게(70kg)에 의하여 회전체는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두레박에 담수되어 합성된 70ℓ의 물은 항상 70kg의 무게로 중력가속도에 의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반면, 회전체 상부에 공급되는 물에 양은 항상 7.0ℓ 물의 양만을 공급하면 되므로, 다음 식을 적용하여 열료 무 공급 동력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퍼텐셜에너지 = (KE)0.5mv²+mgh=(PE)0.5mv²+mgh 예비동력을 소비하여 얻은 에너지 ~ 7kg×10개=70kg. 이 70kg의 물에 무게를 윗식에 대입하면, 0.5×70.0×5.9²+70.0×9.8×1.8 = 2469.600w≒2.5kw의 전력이 발생된다.&#10230; 운동에너지(KE) 물 7.0ℓ를 1.8m 높이로 상승 시키는데 소비되는 에너지는 7kg×1.8m=12.6kg이 된다. 이 12.6kg 물의 무게를 윗 식에 대입하면, 0.5×12.6×5.9²+12.6×9.8×1.8 = 444.528w≒0.44kw의 전력이 소비된다.&#10230;위치에너지(PE) ∴0.44kw-2.5kw=2.1kw(알짜에너지) 즉 70kg의 무게는 일정한 고도의 공간(1.8m)에서 중력가속도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일정한 속력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 동안, 회전체 하단에서 7.0kg의 물이 제거되는 반면, 회전체 상단에서는 아랫단에서 제거된 7.0kg만큼만, 동시에 공급하면 되므로, 70kg의 무게는 지속적으로 70kg의 무게를 가지고 중력가속도에 의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7.0kg의 물을 담수하는 용기모형에 따라 효율이 결정되며, 액체의 성질과 기계구성의 결합이라는 사실이다. 즉 기계 구성과 조화를 이루는 물질(에너지의 재료)이 액체가 아니면 불가한 사실이다. 학술적 이론 - 중력에너지는 경로와 무관하게 높이에만 관계가 된다는 사실이다. 작동원리 설명 그림과 같이 7.0ℓ의 물이 담수되는 두레박 24개가 균등 구비된 고리연결 줄(체인)로, 두 개의 톱니바퀴가 대응회전 하도록 장방원형 회전체를 구성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면, 10~12개정도의 두레박에 물이 담수되어 담수된 물 무게(70kg)에 의하여 회전체는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두레박에 담수되어 합성된 70ℓ~84ℓ의 물은 항상 70kg~84kg의 무게로 중력가속도에 의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반면, 회전체 상부에 공급되는 물에 양은 항상 7.0ℓ 물의 양만을 공급하면 되므로 다음 식을 적용하여, 열료 무 공급 동력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퍼텐셜에너지 = (KE)0.5mv²+mgh=(PE)0.5mv²+mgh 예비동력을 소비하여 얻은 에너지 7kg×10개=70kg. 이 70kg의 물에 무게를 윗 식에 대입하면, 0.5×70.0×5.9²+70.0×9.8×1.8 = 2469.600w≒2.5kw의 전력 발생.<(운동에너지(KE)> 물 7.0ℓ를 1.8m 높이로 상승 시키는데 소비되는 에너지는 7kg×1.8m=12.6kg. 이 12.6kg 물의 무게를 윗 식에 대입하면, 0.5×12.6×5.9²+12.6×9.8×1.8 = 444.528w≒0.44kw는 소비되는 전력.<위치에너지(PE)> ∴2.5kw-0.44kw=2.1kw(알짜에너지) 즉 70kg의 무게는 일정한 고도의 공간(1.8m)에서 중력가속도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일정한 속력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 동안, 회전체 하단에서 7.0kg의 물이 제거되는 반면, 회전체 상단에서는 아랫단에서 제거된 7.0kg 만큼의, 물이 동시에 공급 되므로, 70kg의 무게는 지속적으로 70kg의 무게를 가지고 중력가속도에 의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7.0kg의 물을 담수하는 용기모형에 따라 효율이 결정되며, 액체의 성질과 기계구성의 결합이라는 사실이며, 기계 구성과 융합을 이루는 물질(에너지의 재료)이 액체가 아니면 불가한 사실이다. 학술적 이론 중력에너지에서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동일하다는 이론은 하나의 물체가 하나의 게를 일룰 때 성립되는 것으로, 본 중력기관은 운동에너지 계와 위치에너지 계가 분리되어, 운동에너지는 운동에너지만 발생하고, 위치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융합되어 운동에너지의 일부를 소비하여 지속적으로 위치에너지가 생성되므로, 운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발생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기존 에너지기술에서 위치에너지는 연료와 같은 것이 된다. ☞ 중력에너지는 경로와 무관하게 높이에만 관계가 된다. 예를 들면, 한국전력공사의 전력으로 7.0ℓ/sec의 물을 1.8m 높이로 상승시켜, 70ℓ의 물로 장방원형 회전체를 회전시켜 발전되는 전기를 사용하면, 한국전력에 납부하는 전력요금은 7.0kg×1.8m=12.6kg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해당전력요금만 납부하면 되는 것이다. 즉 1개월간 전기 사용량은 2.5kw×720시간=1,800kwh의 전력을 사용하고, 한전에 납부하는 전력요금은 0.44kw×720=316.8kwh의 전력요금만 한전에 납부하면 되는 것이다. 3. 기존 이론 수력발전 원리와의 차이점 종전 수력발전은 용수량(ℓ&#8231;/sec)과 낙차(m)의 곱(×)으로 값을 산정하여, 중력가속도(9.8)의 곱으로 산출된 값이 발전량(kw)이 되어 전력으로 사용하는 반면, 이 기술은 같은 용수량을 같은 낙차의 공간에서 다수 개 두레박으로 합성된 무게(kg)를 역학에너지로 출력하여 전력으로 사용하는 차이점(유체역학 에너지<역학에너지)이 있는 것이다. 4. 기술에 대한 사회적 문제 ☞ 이 기술은 과학의 새로운 이론이 추가되거나 변경된 사실은 없다. 다만 과학의 모든 이론을 “보존법칙”에 잠식시키는 지식계의 인식이 안타깝습니다. ☞첨부된 그림은 실전배치를 위하여 설계된 계략도. 조종길 (02)856-5920 E-mail : gilngjo@naver.com |
첨부파일 |
- 담당부서 대외협력실
- 연락처 042-868-7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