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2025.01.02.
- 조회수427
안녕하십니까!
2025년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세상을 움직이는 한국기계연구원의 가족 여러분, 국내⦁외 고객과 협력 파트너 여러분, 을사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로운 해가 솟아올랐지만, 정치·외교의 불확실성과 경제의 하방 리스크 압력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보다 더한 시기에도‘할 일은 반드시 해내는 저력’으로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건설한 자랑스러운 역사가 있습니다.
거세지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DX)의 물결 속에서 한국의 과학기술계와 산업계는 ‘혁신과 정체의 기로’에 있습니다. 더욱이 경쟁국의 저가 물량 공세는 한국의 기계산업과 제조업을 혼란에 빠트리고 있습니다.
기술패권 경쟁, 공급망 재편, 자국 우선주의 속에서 과학기술계와 산업계는 잠시의 쉴 틈도 없는 것 같습니다.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연구자들이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일을 해낸다면, 대체 불가능한 출연연으로 ‘다시’ 국민의 희망이 되고 사랑받는 날이 올 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존경하는 한국기계연구원 가족 여러분,
한국기계연구원의 2024년 성과를 소개하고, 2025년의 계획을 큰 그림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4년 청룡의 해에, 우리는 R&D 예산 삭감과 AI/DX의 격랑 속에서 한국기계연구원의 8대 중점 연구 분야와 기관 운영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만들어 내었습니다.
5대 정량 지표 중 가장 중요한「연구계약고」는 직전년도인 2023년 대비 94% 수준인 1,900억 원대로 예상됩니다.
「기술료」수입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65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일반 기계산업의 침체 속에서 전년 대비 기술료 수입이 증가한 것을 높이 평가합니다.「특허 등록과 출원」 모두 전년 대비 저조하였지만, 특허 수월성을 나타내는 해외 특허 출원 부분은 전년 대비 10% 향상된 66건을 기록하였습니다.
「논문 게재」는 전년 대비 14% 증가하여 총 223건에 달합니다. 더욱 평가할 부분은 논문의 수월성을 표시하는 JCR 상위 5% 이상 게재 논문의 수가 전년 대비 40% 증가한 45건으로 늘어났고 최상위 저널의 표지논문을 여러 번 장식했다는 것입니다. 「기술지원」 분야에서 시험검사와 애로기술 지원 모두 전년 대비 저조하지만, 이는 전반적인 기계산업 침체와 신뢰성 분야 구조조정 요인으로 추정됩니다.
2024년을 장식하는 대표할 만한 연구 성과로 SNS 조회수 2백만 건을 웃도는 계단과 바위도 타 넘을 수 있는 변형하는 모핑휠과 함께, 로봇작업 AI기술, 의료폐기물 장치, 자율주행 환경인식기술, 휴대용 물 수확기, 초대형 나노 투명 스크린, 나노 광학소자 센서 기술, 자율운항 선박의 자동계류장치 등 국민의 삶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혁신기술을 창출했습니다.
사랑하는 한국기계연구원 직원 여러분,
2025년은 푸른 뱀의 해, 청사(靑巳)의 해입니다. 뱀은 지혜, 통찰, 변화를 상징하며 새로운 기회를 잡고 도약을 준비하는 해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도약의 해 2025년, 한국기계연구원의 비전하우스에 명시된 3대 추진전략, ①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장착, ② 대표브랜드 정립 및 육성, ③ 원천기술 확보와 사업화 가속을 통해 청사(靑史)에 길이 남는 한해를 만들어 갑시다.
「디지털전환(DX)과 인공지능(AI) 장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일류에서 초일류로 올라가느냐? 아니면 일류에서 이류의 나락으로 떨어지는가? 하는 결정적인 사항입니다. 대한민국의 기계산업과 제조업이 AI/DX 물결에 올라타지 않고 무슨 기술로 미래로 나아갈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지난해 우리의 AI/DX 전략과 함께 단기․중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올해는 AI/DX 인프라 구축 가속, 연구/행정 분야의 AI/DX Ready 과제 수행, 전체 구성원의 AI/DX 역량 향상, AI/DX 문화 확산에 더욱 집중하겠습니다.
「대표브랜드 정립 및 육성」은 한국기계연구원의 숙원입니다. 자기부상열차 이후 대중이 인식할 수 있는 대표브랜드 탄생에 우리는 목말라 있습니다. 2025년 우리가 수행하는 여러 K-제품과 K-기술이 있습니다. 기계산업과 제조업의 게임 체인저인 K-AI 로봇, 탄소중립 시대의 일등공신인 K-히트펌프와 K-무탄소발전기술, 기계를 만드는 기계의 두뇌 K-CNC, 수소사회를 여는 K-수소액화와 K-극저온기술, 바다의 수호자 K-함정생존성기술, 미래 농생명을 선도하는 K-와이즈팜, 기업의 엔지니어링 툴인 KIMM Cyber Lab 등과 같은 후보들이 2025년 한국기계연구원의 대표브랜드로 두각을 나타내길 기대합니다.
「원천기술 확보와 사업화 가속」은 출연연의 존재 이유입니다. 우리는 이미 선도국을 추격하는 제품과 기술 개발에서 벗어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FBO 기술, 즉 세계 최초(First), 세계 최고(Best), 국내 유일(Only)을 지향하는 R&D에 더욱 높은 가중치를 두겠습니다. 고위험-고성과 R&D를 이끄는 선도형 R&D와 정부 R&D 시스템 개선에 중점 투자 예정인 2025년 정부 R&D 방향에 발맞추어, 우리도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혁신⦁도전형 과제에 도전할 예정입니다. 기초원천기술과 산업기술이 모두 필요한 AI휴머노이드 로봇, 하이브리드 동력형 도심항공모빌리티 (UAM), 양자소부장 등의 주제를 글로벌탑전략연구단 과제로 제안하고, 기계산업 DX HUB 신규시설 기획 등 기계와 제조업의 기술패권 주도를 위한 기초를 다지겠습니다.
기술사업화는 R&D를 R&D답게, 사업을 사업답게 만드는 마지막 핵심 고리입니다. 기술사업화를 통해 R&D 투자 자금을 회수하여 다시 새로운 R&D에 투자하기 위해 올해에도 기술사업화에 매진할 생각입니다. 2024년 기획한 ‘후불제 R&D’, ‘Agile Stage-Gate’와 같은 다양한 제도와 개선 방안들이 2025년에 본격 실행 무대에 올라갈 예정입니다.
존경하는 한국기계연구원 가족 여러분,
우리의 비전인 KIMM = K-Machine 기관 홍보는 올해도 계속됩니다. ‘우리의 혁신이 대한민국의 新제조강국 도약에 기여’ 한다는 세계관도 유효합니다. 또한 우리의 핵심가치인 VVIP, 고객중시(Voice of Customer), 가치창출(Value Creation), 진실성(Integrity), 개척정신(Pioneer)이 우리 구성원과 고객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내년 2026년은 한국기계연구원의 설립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NEXT-KIMM 50년을 준비하기 위해 올 한 해 여러 가지 계획을 선제적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미래위원회는 미래비전, 가치창출, 제도/운영개선, 인재양성/조직문화 등 4개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 창출을 목표로 움직이겠습니다. 설립50주년준비위원회에서는 미래위원회와 보조를 맞추어 50년사 편찬부터 시설 개선까지 큰 그림을 완성해 나갈 예정입니다. 연구․행정 분야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합니다.
시무식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부산, 대구, 김해의 지역센터 여러분, 올해에도 지역센터와 본원 간의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하는 한편, 또한 지역센터가 지역과 공진화 (Co-Evolution)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지역의 기술 중심 조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센터 비전을 실행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사랑하는 한국기계연구원 가족 여러분,
오늘 시무식에서 많은 말씀을 드리고 각오도 밝혔습니다. 이러한 모든 과제는 결국 한국기계연구원 가족들이 이끌어 갈 수밖에 없습니다. ‘잘하는지 어디 지켜보자!’ 하는 방관자적인 문화보다는 ‘직접 참여하여 주인이 되자’라는 주인의식이 올해 계획한 많은 일들을 가능하게 하는 추진 동력이 됩니다. 모두 함께해 주실 거죠!
여러분의 열정과 노력이 하나로 모이고, 고객과 파트너들의 이해와 협력으로 우리는 여기까지 왔습니다. ‘뜻이 있으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유지경성(有志竟成)의 정신으로, 우리의 경영목표인 ‘2030년까지 DIGITAL-KIMM 달성’을 목표로 올 한 해도 힘차게 달려봅시다.
‘세상을 움직이는 한국기계연구원’에 동참합시다.
새해에도 한국기계연구원 가족 여러분, 국내⦁외 고객과 협력 파트너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여러분의 곁에서 늘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1월 2일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류 석 현
- 담당부서 대외협력실
- 연락처 042-868-7186